왜.... 오셨나요?

부끄러워요

전체 글 53

생태계 변화를 게임내 기능으로 구현한다면?(#글많음주의)

생물은 어디서부터 오는가, 어디서 부터 시작하는가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를 보면 초반에 에드워드 엘릭 형제가 연금술 수련을 위해 무인도에서 스승의 과제를 수행해 나간다그리고 마지막 수행을 마치게 될때 형제는 하나의 개념을 깨달는데"전체는 하나, 하나는 전체" 이러한 대사를 하게되면서 연금술의 본격적인 수련을 받게된다 여기서 전체는 하나, 하나는 전체란 개념은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입되어 생각해보면환경은 그 속에 사는 생물들을 이루고 생물은 살수있는 환경을 이룬다 라는 사실을 알수있게 된다이러한 생물계의 철학적 증명은 때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수있다  흔하게 RPG게임에서 플레이어가 퀘스트 혹은 성장을 위해 몬스터를 사냥하게 될때 사냥당한 몬스터들의생활군에 따라 해당 필드의 기믹이나 지형이 바뀌게 ..

와피의 주저리 2025.02.26

개발일지 n일차_게임정하기

※글많음주의! 게임을 정하기 위한 나만의 순서가 있다.장르 - 플레이스타일 - 스토리 순으로 게임을 정한다  이번 개발 일지는 위에 순으로 게임을 정하여 큰 줄기에 따라 개발을 이어가기위한 일지이다 1.장르 장르는 이전부터 생각해두고 스케치 해두던 '헌팅액션'을 주력으로 하는 게임을 만들고 싶어해서헌팅액션으로 장르를 정할듯함여기서 문제 3D냐 2D냐 그리고 횡스크롤이야 탑뷰냐 등 게임 외적이나 내적으로 분류가 있겠지만 세세한 디테일은뒤에서 잡도록 하고 장르는 헌팅액션게임으로 정하기로 한다이 다음 하위 분류장르로 RPG방식과 어드벤처 방식등 여러 플레이 방식을 결정하는 장르가 이어진다플레이방식장르는 조작법과 바로 밀접하게 이어지기에 중요한 설정이다그러기에 레퍼런스 참고가 주되게 이어진다 본인이 주로 참고하..

개발일지 2025.01.18

개인 세이브 시스템 관련 자료 정리

스트림(Stream)- 일련(Sequence)의 데이터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직렬로 이동하는 상태(흐름)를 가리키며 stream은 byte의 배열입니다 C#의 직렬화- 직렬화(Serialization)는 개체(Object)를 저장하거나, 메모리(Memory), 데이터베이스(Database) 또는 파일(File)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개체 상태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 serialization와 반대로 이진스트림을 개체로 변환하는 deserialization이 있음, 이 두 프로세스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쉽게 저장하고 전송이 가능함. - 시스템의 직렬화는 값형식의 데이터들을 참조형식의 object타입으로 박싱하여 파일에 이진 또는 텍스트 참조형태로 직렬화가 이뤄지고 역직렬..

유니티 기술 면접2

1. 유니티 이벤트 함수초기화단계(Awake - OnEnalble - Start) => 물리(FixedUpdate) => 그래픽로직(Update - LateUpdate) => 해체 단계(OnDisable - OnDestroy) : 유니티 이벤트 함수들은 있으면 실행되고 없으면 실행이 안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Script내에 이벤트함수가 있다면 유니티가 해당 문자열을 읽고 동작시킨다(매세지브로드케스팅): 유니티는 메세지브로드케스팅 기능으로 Object클래스를 상속 받는 Monobeh가 다른 클래스에 기본적으로 상속되어 있는데 상속된 Script는 유니티의 지배하에 메세지브로드케스팅의 대상이 되어 메세지를 받고 해당 함수가 있다면 동작시키고 아니면 무시한다.: 메세지브로드캐스팅 방식이 채택된 이유는 유..

C# Static 함수

static은 변수나 메소드에 키워드로 사용된다.static 키워드를 사용한 변수는 클래스가 메모리에 올라갈 때 자동으로 생성이 된다.- 스택틱 변수는 객체를 선언만 해도 메모리가 할당되며 일반적인 변수들이 객체가 새로 생성될 때 메모리가 초기화 되는 것과 다르게 해당 객체를 계속 반복적으로 생성해도 메모리가 유지 된다는 특징이 있다.인스턴스(객체) 생성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다.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되니까 편리하고 속도도 빠르다.static 키워드를 사용하는 이유?자주 변하지 않는 일정한 값(정적 값) 혹은 설정 정보 같은 공용자원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매번 메모리에 로딩 혹은값을 읽어 들이는 것보다 일종의 '전역 변수'와 같은 개념을 통해서 접근하는 것이다.인스턴스 생성 없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